마음만은 새내기

항상 초심을 잃지 않고 생활하겠습니다~!

전체 184

BOJ 2740번(행렬 곱셈) 문제 풀이

★ solved.ac 난이도 : B1 (2021년 12월 29일 기준) [문제 링크] 2740번: 행렬 곱셈 첫째 줄에 행렬 A의 크기 N 과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행렬 A의 원소 M개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그 다음 줄에는 행렬 B의 크기 M과 K가 주어진다. 이어서 M개의 줄에 행렬 B의 원소 K개 www.acmicpc.net [문제 분석] 두 행렬의 곱을 구하는 문제 [풀이] 이 문제는 두 행렬이 주어졌을 때, 두 행렬의 곱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두 행렬의 곱을 구하려면, (행렬 A) = N*M, (행렬 B) = M*K 크기여야 합니다. (즉, 행렬 A의 열의 개수와 행렬 B의 행의 개수가 같아야겠죠?) [행렬의 곱 구하기] (여기에서 Aij = 행렬 A의 (i, j) 위치를 나타..

2019-1학기 수업 노트 예고 및 통학 계획

안녕하세요~!이제 곧 개강인데요...(물론 저도 예습을 미리 하고 있지만요...)특히, 이산수학과 자료구조를 중심으로 예습을 하고 있는데요,저희가 고등학교 때 배우지 않은 행렬부터 시작해서,스택과 큐와 같은 자료구조도 나와서 어려울 것 같아요 ㅠ.ㅠ그래서!! 이번 학기부터 수업 시간에 듣고 메모한 부분과,교수님께서 중요하다고 하신 부분들을 모아서,수업 노트를 올리려고 계획하고 있어요~!또, 프로그래밍(자료구조 및 C++) 실습 시간의 경우, 문제를 그대로 올리기 보다는,어떤 유형의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를 소스 코드와 함께 올려보려고 해요~!(과목 별로 따로 올릴 예정이기에, 저의 하루하루가 바빠질 수도 있겠네요... 게다가 통학이라서... ㅠ.ㅠ) P.S.이제 다음 주부터 통학을 하게 되는데요,집에서 ..

C언어 포인터를 이용하여 함수에서 여러 개의 값 반환하기

[C언어 함수에서 여러 개의 값 반환하기] : 포인터를 이용한 방법 일반적으로 C언어의 return 문은 하나의 값만 반환할 수 있는데요,함수에 포인터를 넘겨줌으로써 여러 개의 값을 반환하는 예제를 들어보겠습니다.(scanf 함수도 이를 이용한 방법입니다.)가장 기본적인 두 수의 합과 차를 동시에 반환하는 함수를 구현해보았습니다.기본적으로 C언어의 함수는 '값에 의한 호출' (Call by Value) 방식인데요,'참조에 의한 호출' (Call by Reference)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 포인터를 사용했습니다.참고로, 함수에 배열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참조에 의한 호출' 방식을 사용합니다. #include void sum_minus(int a, int b, int *sum, int *min..

BOJ 15595번(정답 비율 계산하기) 문제 풀이

★ solved.ac 난이도 : S3 (2021년 12월 29일 기준) [문제 링크] 15595번: 정답 비율 계산하기 첫째 줄에 어떤 문제의 총 제출 횟수 N(1 ≤ N ≤ 2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 제출의 정보가 제출 번호 순서대로 주어진다. 제출 정보는 총 7가지가 공백 하나로 구분되어져 있 www.acmicpc.net [문제 분석] BOJ에서 정답률 계산 공식을 구현하는 문제 [풀이] 이 문제는 제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정답률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계산 공식) 정답률 = (정답자 수) / ((정답자 수) + (각 정답자가 정답을 받기 전까지 틀린 횟수의 총 합)) * 100 (단위는 % 입니다.) 단, 정답자 계산 시 관리자 제출은 제외해야 합니다. 만약, 이를..

BOJ 1065번(한수) 문제 풀이

★ solved.ac 난이도 : S4 (2021년 12월 29일 기준) [문제 링크] 1065번: 한수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www.acmicpc.net [문제 분석] (문제에서) 한수의 개념을 파악하고, 조건에 맞는지 파악하는 문제 [풀이] 먼저, '한수'의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셔야 합니다. {정의} 양의 정수 X에 대해서 각 자릿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는 수 여기에서는 N이 주어졌을 때, N 이하의 한수의 개수를 세는 문제입니다. (여기에서 N의 범위는 1,000 이하입니다.) 여기에서 1,000은 한수가 아니므로 잠시 접어두시고,..